구분 | 분류 | 정의 |
---|---|---|
자살관련 용어 | 자살시도 | 죽으려는 의도로 인한 행동(노골적인 또는 암시적인) |
자살의도 | 자살로 이어질 수 있는 주관적인 생각이나 바램 | |
자살생각 | 자신의 죽음에 대한 생각, 자살에 대한 계획이나 의도의 정도에 따라 중대한 정도가 다를 수 있음 | |
불확실한 도피 또는 안전에 대한 위험(Uncertain Flight or safety risk) |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협을 주는 폭력적인 환자; 조절되지 않는 분노, 안절부절 못함, 편집증(Paranoia), 또는 환각으로 이상행동을 하는 환자; 혹은 자살 위험도 평가에 협조하지 않거나 할 수 없으며 도주의 위험이 있는 환자. 근접 관찰이 필요한 환자(단, 보호자가 상주하거나 의료진과 보호자가 합의한 경우에는 병워측의 근접관찰은 필요하지 않음) | |
불안 / 초조 | 중증 불안 / 초조 | 빈맥과 초조함을 동반한 극도의 불안이나 걱정, 근심; 또는 극도의 흥분상태로 의료진의 협조 요청에도 진정되지 않음 |
중등도 불안 / 초조 | 명백한 불안이나 걱정, 근심(단, 빈맥과 떨림은 없음); 또는 초조함의 징후를 보이며 지시에 대해 일관성 있게 수행하지 못함(예를 들어, 앉거나 진정하도록 지시했을 때 일시적으로 지시에 따르지만 금방 안절부절 못하고 다시 초조해짐) | |
경증 불안 / 초조 | 가벼운 불안이나 걱정, 근심이 있지만 안심시키면 나아짐; 또는 안절부절 못하지만 협조적이며 지시에 잘 따름 | |
Hallucination / Delusion | 급성 정신병 | 극도의 자기 부정, 혼란, 무질서한 생각, 언어 패턴의 장애, 자기 통찰에 대한 부족으로 인한 현실세계에 대한 사고의 부족, 환각이나 망상으로 인한 이상한 생각, 혹은 적개심이 수반된다. |
편집증(Paranoia) |
피해망상 – 몇몇 방법으로 추적당하고 있거나 독극물에 노출되어 있거나 해를 입고 있고 있다고 생각함 관계 관념 - 사람들이 자신의 얘기를 하고 있다는 믿음. 극심한 불안, 초조, 혹은 적개심이 동반될 수 있음 |
|
만성 환각 | 환각의 병력을 알고 있지만 최근의 양상이나 빈도, 혹은 환각으로 인한 본인의 고통의 변화가 없음 | |
만성, 비-응급 상태 | 분류 담당자가 평소 알고 있는 환자이며, 이전에도 치료가 잘됐던 동일한 증상을 호소하거나 단순히 음식이나 따뜻한 곳, 일시적으로 쉴 곳을 찾고 있는 경우 | |
괴이한 행동 | 조절되지 않는 행동 | 기괴하며, 지남력이 없고 비이성적인 행동, 이성과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으로 조절되지 않는 행동 , 환자나 타인을 육체적 위험에 빠뜨리는 행동 |
조절되는 행동 | 위협적으로 보이는 기괴하고, 비이성적인 행동을 하지만 합리적인 설득으로 통제가 가능함; 가족이나 친구가 환자와 동행하고 있음 | |
해롭지 않은 행동 | 괴이한 또한 기이한 행동 (최근 환자의 일반적인 동향에서 변화는 없음) 환자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긴급하게 개입할 필요는 없음 |